뭔가 요새 랜선을 꽂은 노트북의 네트워크 속도가 생각만큼 나오지 않아 의문스럽던 중,
KT 홈페이지에서 내 네트워크 속도를 확인하고 A/S 신청하는 방법을 알게돼서 직접 해보고 리뷰를 남긴다.
1. 내가 사용 중인 서비스 확인
일단 내가 사용 중인 인터넷 서비스를 확인해보자.
나는 모바일/인터넷/TV 모두 KT에서 이용 중이다.
KT 사이트에서 마이페이지 > 가입정보 > 다른 상품 보기를 통해서 인터넷 상품의 가입정보를 살펴봤다.
KT고객인 경우 인터넷 상품의 상품명만 확인해주면 된다.
이걸 확인하는 이유는 기가 인터넷(1G ~)인지 일반(~ 1G)인지 알아야 그에 맞는 검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 (타 통신사도 가능)
이제 인터넷 속도측정을 하러 갈 수 있다.
KT 사이트에서 고객지원 > 인터넷 속도측정 메뉴로 이동한다.
(로그인해야 속도측정이 가능하다. 타 통신사도 이걸 하려면 회원가입해야 한다는 사실... ㅎ)
아 검사를 하려면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다. 먼저 측정 프로그램 설치를 해주자.
( 탭을 가장 오른쪽으로 넘기면 속도측정 길잡이가 나온다. 여기서 측정 프로그램 설치 페이지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위 측정 프로그램을 다 설치했으면, 맨 앞 속도테스트 탭으로 이동해서 속도 테스트를 시작하자.
기가급 서비스를 이용 중인 사용자는 2번째 버튼(기가급 속도 테스트)를 클릭해서 검사를 시작할 수 있다. 일반 인터넷 서비스라면 그냥 일반 속도테스트를 하면 된다.
기가급 속도 테스트 화면 (지금 왠지 서비스가 안된다 나중에 넣어야지)
그렇게 속도 테스트를 했더니 이렇게 나왔다...
찾아보니까 내가 가입한 기가 인터넷 최대 1G는 최소보장이 500Mbps 였는데 나는 90Mbps가 나오고 있었다.
그래서 일단 서비스 리셋을 해보기로 했다.
3. 서비스를 원격 리셋해보자
난 이런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고객지원 탭을 뒤지다보니까 이것저것 나오더라.
일단 고객지원 > 고장진단(기가케어) 메뉴로 간다.
조금만 내리면 나오는 '진단하기' 버튼으로 나오는 팝업에서
내 인터넷, TV의 정상 연결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정상이라고 땋 나오긴 했지만 나는 저 화면을 아래로 내려서 나오는 리셋 버튼으로 원격 서비스 리셋을 실행했다.
뭐 원래 고장난 거 리셋하면 제대로 되고 그런 경우가 있잖은가?
4. 품질 보증 테스트
근데 리셋을 하고 다시 속도 측정을 해봐도 현상 유지라서 품질 보증 테스트를 진행했다.
품질 보증 테스트 역시 KT 사이트에서 진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건 총 5번씩 5분씩 텀을 갖고 진행해서 총 20~25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아까 들어갔던 속도 측정 페이지에서 품질 보증 테스트 탭을 클릭하면 나오는 화면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건 KT 고객만 가능. A/S 신청용이라서 당연하다)
품질 보증 테스트 결과가 나는 다 미달로 나와서 이 테스트 결과를 갖고 A/S를 신청했다.
5. 이의신청을 통한 A/S
A/S 신청하고 바로 다음날 아침 갑자기 문자가 왔다. 오늘 오전 11시~12시에 방문한다는 얘기였는데, 나는 그 날 집에 없었기 때문에 다음 날로 미루고 A/S를 받았다.
뭐 A/S 결과는 조금 어이가 없었다 ㅎ... 랜선 문제였다니.
분명 랜선 체크도 하고, 랜선 종류까지 CAT5E라는거 체크하고 A/S 신청을 했는데...
전문가의 손길은 남다르다. 커넥터 교체해주시고 가셨다 ㅎㅎ
아무튼 A/S 신청을 안했더라면 계속 느린 인터넷으로 살았겄지... 만족한다.
'똑똑해져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on Online Editor 공유 (0) | 2020.12.02 |
---|---|
네이버 웨일, 매일 웨일해! 대국민 이벤트 참여방법 (0) | 2020.11.20 |
네이버 웨일 확장앱 추천 1 - 이모지 피커 😍 (0) | 2020.11.20 |
독일어 공부 시작 00 (0) | 2016.02.19 |
댓글